티스토리 뷰
냉방병이란? 여름에만 찾아오는 불청객
여름철 에어컨이 없으면 생활이 어렵지만, 실내 냉방이 과하면 '냉방병'이라는 불청객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냉방병은 의학적인 진단명이 아닌 생활 질환의 일종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심할 때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며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이 칼칼하거나 기침이 반복되는 상기도 불편감, 소화불량, 두통, 어깨 결림, 무기력감 등이 있습니다. 특히 오랜 시간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거나 밤새 냉방을 켜놓고 자는 경우 아침에 몸이 뻐근하고, 코가 막히는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문제는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피로감이 누적되어 일상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좀 춥다”는 느낌이 아니라, 체내 순환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일시적으로 떨어진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죠.
냉방병이 잘 생기는 환경과 원인
냉방병은 주로 ‘실내외 온도차’가 5도 이상일 때 더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대형 쇼핑몰, 사무실,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강한 냉방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온도뿐 아니라 ‘습도’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에어컨은 공기를 차갑게 하면서 동시에 습도를 낮추는데, 이로 인해 호흡기가 건조해지고, 피부는 땅기고, 점막이 약해져 감기 유사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환경에 있어도 냉방병에 잘 걸리는 체질이 있습니다. 평소 수족냉증이 있거나, 체온 조절이 약한 중장년 여성, 수면 질이 떨어지는 사람, 스트레스가 많은 직장인이 특히 취약합니다. 냉기 자체보다, 반복적인 '긴장 상태'가 자율신경계를 무너뜨려 냉방병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냉방병을 피하는 생활 속 예방법
첫째, 실내 온도는 외부보다 5도 이상 차이 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름철 권장 실내 온도는 25~27도입니다.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방향을 천장이나 벽으로 틀고, 가능하면 ‘송풍’과 ‘냉방’을 번갈아 사용하세요. 둘째, 장시간 냉방된 공간에 있을 때는 얇은 겉옷이나 무릎담요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복부나 발목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셋째,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체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 미지근한 물, 따뜻한 국물, 생강차, 대추차 등은 체온 회복과 자율신경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넷째, 밤에 잘 때는 ‘수면 타이머 기능’을 사용해 새벽에 에어컨이 꺼지도록 설정하고, 가능하다면 창문을 살짝 열어 자연 환기를 시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하루 10분 이상 햇볕을 쬐며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몸의 체온 리듬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저도 매년 여름 사무실 냉방 때문에 고생했는데, 올해는 작은 실천 몇 가지로 훨씬 덜 힘들게 보내고 있어요. 특히 따뜻한 물 자주 마시기와 에어컨 직접바람 피하기만으로도 아침 몸 상태가 확 달라졌습니다. 무더운 여름, 냉방병으로 컨디션 잃지 마시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